미국 지역은행들(ZION, WAL 등)의 파산이 다시 시작될까?

이미지
 코로나 이후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연준이 시행한 고금리 정책 이후 2023년 SVB라는 지역은행이 파산보호 신청을 하고 뱅크런이 일어나고 시장이 크게 요동쳤던 일을 기억하실 것입니다. ‘파산 보호 신청’ SVB파이낸셜, 나스닥 상장 폐지 통보받아  - 2023.03.18 이코노미스트 당시 바이든 정부의 옐런 재무부 장관의 스텔스 양적완화와 정치/은행권의 빠른 도움으로 시장이 빠르게 정상화 되었습니다. 그렇게 연준의 고금리는 지속되지만, 재무부의 단기 채권 발행을 통한 양적완화로 우리는 긴 상승장을 목격하게 됩니다. 그리고 2025년 지금, 미국 지역은행들에 대한 또 다른 위기 소식이 들리고 있습니다. 자이언스는 캘리포니아 뱅크 앤 트러스트(California Bank & Trust) 대출과 관련된 5천만 달러 가량의 대손상각으로 주가가 하루만에 13% 하락하였습니다. ZION 주가 - investing.com 또 다른 지방은행인 웨스턴 얼라이언스도 선순위 담보권를 행사하지 못한 사실의 발표로 10%의 하락이 있었습니다. WAL 주가 - investing.com 대형은행도 마찬가지였습니다. JP모건은 트라이컬러 파산으로 1억 7천만 달러 규모의 손실을 보았다고 하는데요. 미국 은행들의 부실대출로 인한 문제가 불거져 나오는 가운데 월가의 황제라 불리는 제이미 다이먼은 “바퀴벌레가 한 마리 나타났다면 아마도 더 많을 것"이라며 경고하였습니다. “바퀴벌레 한 마리 보이면”…은행발 불붙은 위기론 [글로벌마켓 A/S]  - 2025.10.17 한국경제TV 정말이지 투자하기 무섭게 만드는 말입니다. 시장도 전체적으로 약세로 전환한 분위기 이고, 아직 SVB 은행 때처럼 극심한 공포가 확산되고 있지 않지만 주의가 필요할 때 입니다. 만약 문제가 일어난다면 이번에도 정부가 구원투수로 나서줄까요? 저는 혼자해 본 이 물음에 '아니다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트럼프 정부의 행보를 보면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트럼프 정부가 들어선...

OpenAI와 Nvidia의 GPU 순환출자에 대한 생각

이미지
AI는 어느순간부터 우리 일상에 많이 활용이 되고 있습니다. AI가 신산업으로 각광받고 있음에 따라 AI개발에도 자본이 많이 투입되고, 자연스럽게 AI 학습에 필요한 GPU 및 이 데이터센터를 유지할 전력 인프라에도 관심과 자본이 투입되고 있습니다. AI라는 장밋빛 산업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가장 확인하기 쉬운 돈의 흐름을 쫓아, 우리는 우리에게 닥칠 수 있는 위험과 그 곳에 있는 기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AI 산업의 중심에는 역시 OpenAI와 Nvidia가 있습니다. 이 두 회사를 중심으로 관계를 정리해 본다면 아래의 관계도가 성립이 될 것입니다. GPU 순환출자 도식 -Bloomberg 관계가 많이 복잡하지만 중요한 몇개의 회사만 뽑아도 우리에게 필요한 정보는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OpenAI에 투자 -> OpenAI AI개발을 위한 GPU 구입 -> Nvidia 매출 상승 -> Nvidia 좋은 실적을 바탕으로 주가 상승 -> Nvidia가 OpenAI에 다시 투자 -> OpenAI는 투자금으로 다시 GPU 구입 -> Nvidia 매출 상승 이렇게 1차 순환출자가 끝나면 다시 2차 순환출자를 진행합니다. Nvidia가 코어위브, Nebius와 같은 데이터 센터에 회사에 투자 -> 데이터 센터 회사들은 투자금으로 GPU 구입 -> Nvidia 매출 상승 -> Nvidia 또는 OpenAI가 다른 AI 기업에 투자하여 GPU 수요 창출 최근 체결된 AMD와 OpenAI간의 투자 및 10% 가량의 주식 옵션 계약도 이와 같은 관계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업간의 거래로는 성장의 한계가 있습니다. 이 산업이 유지되고 더 커질 수 있는 원동력은 투자자들의 돈 입니다. 그래서 그들은 투자자들을 유치하기 위한 유인책들을 발표하게 됩니다. <기회> 수요의 끝이 보이지 않는 가운데에선 순환출자가 레버리지 효과를 만들어 막대한 시장성장과 투자자들에 대한 수익을 가져다 줄 수...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따른 미국의 보복 조치에 대한 생각

이미지
10월 11일 새벽 미국이 11월 1일부터 중국에 대한 100% 추가 관세 부과를 발표 합니다.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주무시는 시간이라 대응이 쉽지 않으셨을 것 같습니다. 저도 큰 손해를 보았네요. 中희토류 통제에 美 '100% 관세'…트럼프·시진핑 APEC회동 미지수  -연합뉴스 2025.10.11 이는 10월 9일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따른 보복 조치로, 마드리드 고위급 회담 이후 틱톡의 매각 협의까지 진행되며 보이던 미국과 중국의 화해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게 되었습니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는 미국 상무부의 "수출통제 대상 기업이 지분 50% 이상을 보유한 자회사도 수출통제를 적용" 한다는 규정 발표에 따른 보복 조치입니다. 이제껏 중국은 미국의 수출 통제에 대응하기 위해 해외에 자회사를 설립하여 우회 수입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였는데, 그에 대한 통제도 하겠다는 미국의 입장으로 보입니다. 겉으론 서로 정책에 대한 보복과 또 다른 보복을 계속해 나가는 진흙탕 싸움으로 보이지만 전문가들은 시각은 다릅니다.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APEC이 개최될 예정입니다. 미국과 중국의 대표들은 이 회담에서 서로 더 유리한 위치를 선점해야 협상을 쉽게 풀수 있습니다. 현재의 보복 조치들은 각국이 가지고 있는 이점을 극대화 하기 위한 사전 조치로 볼수 있습니다. 미국 VS 중국 - AI 생성 이미지 <중국의 카드> 중국은 많은 인구와 돼지 사육으로 세계 최대의 대두 수입국으로 현재 브라질산을 대부분 수입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대두 생산량이 브라질 못지 않은 국가이고, 자국내 농민들의 지지율이 필요한 트럼프 입장에선 극적인 해결책이 필요합니다. 中, 8월 대두 수입 '역대 최대'…"대부분 브라질産 예상"   -연합뉴스 2025.09.08 미국 내에 희토류 산지가 꽤 있지만, 환경오염 문제로 각 단체들의 반발이 예상되므로 개발이 쉽지 않은 상태입니다. 하지만 중국은 이에 자유로워 미국...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OpenAI와 Nvidia의 GPU 순환출자에 대한 생각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따른 미국의 보복 조치에 대한 생각

미국 지역은행들(ZION, WAL 등)의 파산이 다시 시작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