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지역은행들(ZION, WAL 등)의 파산이 다시 시작될까?
코로나 이후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연준이 시행한 고금리 정책 이후 2023년 SVB라는 지역은행이 파산보호 신청을 하고 뱅크런이 일어나고 시장이 크게 요동쳤던 일을 기억하실 것입니다. ‘파산 보호 신청’ SVB파이낸셜, 나스닥 상장 폐지 통보받아 - 2023.03.18 이코노미스트 당시 바이든 정부의 옐런 재무부 장관의 스텔스 양적완화와 정치/은행권의 빠른 도움으로 시장이 빠르게 정상화 되었습니다. 그렇게 연준의 고금리는 지속되지만, 재무부의 단기 채권 발행을 통한 양적완화로 우리는 긴 상승장을 목격하게 됩니다. 그리고 2025년 지금, 미국 지역은행들에 대한 또 다른 위기 소식이 들리고 있습니다. 자이언스는 캘리포니아 뱅크 앤 트러스트(California Bank & Trust) 대출과 관련된 5천만 달러 가량의 대손상각으로 주가가 하루만에 13% 하락하였습니다. ZION 주가 - investing.com 또 다른 지방은행인 웨스턴 얼라이언스도 선순위 담보권를 행사하지 못한 사실의 발표로 10%의 하락이 있었습니다. WAL 주가 - investing.com 대형은행도 마찬가지였습니다. JP모건은 트라이컬러 파산으로 1억 7천만 달러 규모의 손실을 보았다고 하는데요. 미국 은행들의 부실대출로 인한 문제가 불거져 나오는 가운데 월가의 황제라 불리는 제이미 다이먼은 “바퀴벌레가 한 마리 나타났다면 아마도 더 많을 것"이라며 경고하였습니다. “바퀴벌레 한 마리 보이면”…은행발 불붙은 위기론 [글로벌마켓 A/S] - 2025.10.17 한국경제TV 정말이지 투자하기 무섭게 만드는 말입니다. 시장도 전체적으로 약세로 전환한 분위기 이고, 아직 SVB 은행 때처럼 극심한 공포가 확산되고 있지 않지만 주의가 필요할 때 입니다. 만약 문제가 일어난다면 이번에도 정부가 구원투수로 나서줄까요? 저는 혼자해 본 이 물음에 '아니다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트럼프 정부의 행보를 보면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트럼프 정부가 들어선...